Browsed by
[Tag:] 산딸나무

산딸나무

산딸나무

꽃을 보호하기 위해 감싸고 있는 작은 잎을 ‘총포조각’이라 한다. 우리말로는 ‘꽃받침 조각’ 또는 ‘꽃받침’이라 부른다. 말 그대로 꽃을 받치고 있는 조각이다. 가끔 사진 찍을 때 두 손으로 얼굴을 받치고 찍는 경우가 있다. 그 때 얼굴 받침 했던 두 손이 결국 총포인 셈이다. 보통의 총포는 그 역할에 맞는 모양새를 갖추고 있다. 작고 볼품없어 눈에 띄지 않는다. 꽃받침이 뒤로 젖혀져 있으면 서양 노랑민들레, 곧게 선채 꽃을 동그랗게 감싸고 있으면 토종 흰민들레로 구분할 때 언급되는 정도이다. 민들레의 꽃받침도 애써 꽃을 뒤집어 찾아야 볼…

Read More Read More

5월에 흰색 꽃이 많이 피는 까닭은

5월에 흰색 꽃이 많이 피는 까닭은

봄은 노란색으로 찾아와 하얀색으로 마무리된다. 특히 5월은 하얀색의 계절이다.  거리의 가로수로 많이 식재돼 한창 꽃무리를 보여주고 있는 이팝나무와 근처 야산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아카시나무가 당장 가장 많이 보이는 흰색 봄꽃들이다. 그런데 산으로 눈길을 주면 더 많은 흰 꽃을 만날 수 있다.  산딸기와 산딸나무, 산사나무, 쥐똥나무, 백당나무, 불두화, 층층나무, 때죽나무, 찔레꽃 등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만큼 5월엔 흰색의 꽃들이 많이 핀다. 이렇게 흰색의 꽃이 많은 이유에 대해서 산림청에서 연전에 그 까닭을 밝힌 바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렇다. 이 계절에 피는 꽃들이 압도적으로…

Read More Read More

산딸나무는 IQ가 있을까?

산딸나무는 IQ가 있을까?

산딸나무, 이 나무는 이름처럼 열매모양이 흡사 딸기처럼 생겼다. 층층나뭇과에 넓은 잎을 가지고 있으며 낙엽이지는 중간 키 나무로 5~10m정도 자란다. 산속이나 계곡 주위 등 어디서나 비교적 잘 자라며 꽃모양이 특이하고 열매가 독특하여 관상수로 각광받고 있는 나무다. 꽃은 5월 하순부터 6월 상순에 피어난다. 네 장의 꽃잎이 서로 마주 보며 붙어 있다. 커다란 흰 꽃이 여러 개씩 층층으로 핀다. 본래 4장의 흰색은 꽃잎이 아니다. 잎이 변하여 포엽이라 불리는 꽃받침인데 꽃처럼 보인다. 이렇게 위장을 하고 있으면 벌과 나비 등 여러 곤충들이 쉽게 꽃으로 날아든다….

Read More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