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Month:] 2023년 04월

꽃사과, 야광나무, 아그배 나무를 간단하게 구별하는 방법

꽃사과, 야광나무, 아그배 나무를 간단하게 구별하는 방법

꽃사과, 아그배나무, 야광나무는 꽃과 열매가 비슷해 나무 공부할 때 헷갈리는 그룹이다. 먼저 꽃사과는 열매에 배꼽이 남아 있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배꼽이 남아 있다는 뜻은 석류처럼 열매 아래쪽에 꽃받침 흔적(위 사진)이 있다는 뜻이다. 아그배나무와 야광나무 열매는 배꼽이 남아 있지 않다. 대신 열매에 꽃받침이 떨어진 흔적이 테두리처럼 남아 있다. 그러니까 열매 아래쪽에 동그라미가 그려져 있다. 그럼 이 둘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잎을 보면 구분할 수 있다. 아그배나무 잎은 대부분 둥근 타원형이지만 일부 잎이 2~5개로 갈라져 있다. 야광나무에는 이렇게 갈라져 있는…

Read More Read More

찬란한 슬픔의 봄과 모란

찬란한 슬픔의 봄과 모란

중국이 원산지인 모란은 쟁반처럼 큼지막한 꽃이 아름다워 정원이나 화단에 관상수로 심습니다. 맞고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그림으로 많이 보셨을 겁니다. 화투 패에서 6월을 뜻하는 목단(牧丹)이 바로 모란입니다. 목단에서 변한 이름이 모란이고요. 신라 시대에 당나라에서 보내온 모란 그림을 본 어린 선덕여왕(덕만공주)이 “이 꽃에서는 향기가 없을 것입니다.”라고 했고, 아버지 진평왕이 “네가 그걸 어찌 아느냐?” 하고 물으니 “무릇 여자가 뛰어나게 아름다우면 남자들이 따르는 법이고, 꽃에 향기가 있으면 벌과 나비가 따르기 마련입니다. 이 꽃은 무척 아름다운데도 그림에 벌과 나비가 없으니, 이것은 분명히 향기가 없는 꽃일 것입니다.”라고…

Read More Read More

메타세쿼이아

메타세쿼이아

메타세쿼이아는 은행나무, 소철과 더불어 살아있는 화석식물로 유명하다. 공룡이 살았던 시대에 살았던 나무를 오늘날은 주로 가로수 길에서 만난다. 공룡과 동시대를 살았던 메타세쿼이아가 화석으로만 묻혀 있다가 세상 밖으로 나온 때는 1937년, 일본이 중국에서 전쟁을 벌일 즈음이다. 한창 전쟁의 와중에는 신경을 못 쓰다가 1941년 양쯔강 상류의 한 지류인 마도계곡 근처에서 중국 산림공무원에 의해 발견되었다. 높이가 35미터, 직경이 2.3미터나 되는 이 나무의 이름을 알아보려고 남경대학에 보내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정밀 조사 결과 4천여 그루가 마도계곡 근처에서 자라고 있었다. 공룡과 함께 사라진 줄 알았던 메타세쿼이아가…

Read More Read More

GPT-3

GPT-3

Execution Engines GPT-3 comes with four execution engines of varying sizes and capabilities: Davinci, Ada, Babbage, and Curie. Davinci is the most powerful and the Playground’s default. Ada Babbage Curie Davinci Customizing GPT-3 Fine-tuning is about tweaking the whole model so that it performs every time in the way you wish it to perform. You can use an existing dataset of any shape and size, or incrementally add data based on user feedback. OpenAI also found that each doubling of…

Read More Read More

황금빛의 수수하고 친숙한 아름다움, 황매화

황금빛의 수수하고 친숙한 아름다움, 황매화

황매화[학명: Kerria japonica DC.]는 장미과의 ‘넓은 잎 떨기 키 작은’ 나무다. 유난히 초록빛이 짙은 잎사귀 사이에 샛노란 꽃을 잔뜩 피우는 자그마한 나무가 있다. 이 나무는 잎과 함께 피는 꽃이 매화를 닮았으며, 색깔이 노랗다고 하여 ‘황매화(黃梅花)’라고 부른다. 황매화란 홑꽃으로서 다섯 장의 꽃잎을 활짝 펼치면 5백 원짜리 동전 크기보다 훨씬 크다. 이름에 매화가 들어갔지만 같은 장미과라는 것 이외에 둘은 촌수가 좀 먼 사이다. 황매화는 홑꽃 이외에 꽃잎이 여러 겹으로 된 겹꽃 황매화(K. ‘Pleniflora Witte’)가 있다. 죽도화, 혹은 죽단화란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Read More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