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Month:] 2024년 01월

ZooKeeper 긁적이기

ZooKeeper 긁적이기

ZooKeeper는 MSA에서 Scalable한 구조를 유지가히 위해 많은 오픈소스 솔루션이 내부적으로 활용하는 Coordination 서비스라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Kafka에서 내부적으로 환경을 관리하고 클러스터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도로 알고 있다. ZooKeeper의 탄생을 보면 야후(Yahoo)가 아직은 그 명성이 살아 있을 때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과 맞물려 자체으로 필요에 의해 만든 후 오픈소스로 공개한 서비스이다(2011). 클라우드/MSA환경에서는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해 Scalable한 구조가 필수적이다. 이때 서비스의 트래픽 상황에 따라 노드 개수가 늘어나거나 줄어들어야 하며 바이너리 업데이트 배포시에도 모든 노드들에 동일한 환경이 구성되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면…

Read More Read More

재사용성이 높은 자바 코드를 작성하려면

재사용성이 높은 자바 코드를 작성하려면

재사용성이 높고 보기에도 예쁜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라는 얘기를 많이 듣긴 하지만 어떻게 하야 재사용성이 높고 예쁜 코드를 작성하는 것인지 막연할 것이다. 추상적이긴 하지만 아마도 읽기 쉽고 이해하기 편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코드를 말하는 것일 것이다. 이 글에서 재사용성이 높은 코드를 작성함에 있어 개발자들이 쉽게 시작할 수 있는 8가지 방법에 대해 얘기해 보고자 한다. 재사용성이 높은 코드를 작성한다는 것은 개발자들에게 매우 중요하게 요구되는 기술중의 하나라서 많은 엔지니어들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덕목이라 할 수 있다. 근래 마이크로서비스아키텍처(MSA)가 보편화 된 개념으로 자리잡고 널리 적용하고…

Read More Read More

문과 남자의 과학공부

문과 남자의 과학공부

내가 좋아하는 유시만 작가와 KAIST 물리학과 김상욱 교수, 뇌과학자 박문호 박사와 이 책을 소재로해서 얘기 나누는 유투브를 보게 되면서 관심을 가지고 있던 차에 다음 읽을 거리를 찾다가 웬지 마음이 끌려 이 책을 펴게 되었다. 유시민 작가의 특유의 명료한 논리는 그리 돋보이지 않으나 예상대로 문과를 나온 사람도 물리, 화학, 수학 등의 내용을 쇱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하고 있다. 읽으면서도 놀라운 점은 양자, 뇌과학, 수학 등 어렵게 느끼는 내용들을 이렇게 쉽게 풀어 놓으려면 관련된 지식을 얼마나 많이 조사하고 섭렵해야 가능할까하는 것이었다. 이…

Read More Read More

이처럼 사소한 것들

이처럼 사소한 것들

지금까지 자기계발 또는 인문학 책들 위주로 독서를 했는데 오랫만에 가볍게 소설책을 읽어보고 싶어 “이처럼 사소한 것들”이란 책을 선택했다. 전체 페이지가 130여쪽이어서 몇 시간이면 쉽게 읽을 수 있는 단편소설이었다. 처음 시작은 평이하게 시작하고 내용이 전개되면면 흥미 진진한 내용으로 꾸며질 것 같았는데 그저 크리스마스에 가족영화 한편 보는 정도랄까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내게 끌리는 그런 내용은 아니었다. 다 읽고 난 느낌은 사람과의 관계, 사람에 대한 고마움, 애정, 어렵더라도 사랑을 배풀고 살아라 정도이지 않을까 한다. 특히, 크리스마스를 시간적 배경으로 한 내용이라 이 즈음에 읽으면 좋을…

Read More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