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Month:] 2025년 04월

The Hidden Complexity of Event-Driven Systems

The Hidden Complexity of Event-Driven Systems

While decoupling sounds great in theory, it often introduces invisible coupling – dependencies on event contracts, formats, topics, and message semantics. Here is where things get messy: What was meant to simplify scalability ends up complicating development and operations – especially for small and mid-sized teams.

Model Context Protocol

Model Context Protocol

The Model Context Protocol (MCP) is a standard developed by Anthropic that enables AI models to use tools by defining a structured format for tool descriptions, calls, and responses. It defines a standardized way for LLMs to discover, call, and use tools, often hosted on local or remote servers, via HTTP + JSON RPC2.0. Function calling is like giving LLM a calculator app. MCP is like giving LLM an App Store — which can browse, discover, and use any available tool on its…

Read More Read More

박쥐나무 꽃은 왜 숨어 있을까?

박쥐나무 꽃은 왜 숨어 있을까?

숲을 좋아하고 산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한적한 오솔길을 걸을 때 한 번쯤은 박쥐나무(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곁을 지나쳤을 것이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박쥐나무는 만날 기회가 많다 하더라도 전문가가 아닌 이상 쉽게 구별해 내지는 못 할 것이다. 하지만 친근한 이름에서 박쥐와 어떤 관련이 있을지 궁금증을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박쥐나무의 생장과 관련된 무미건조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이런 나무가 어떻게 박쥐나무란 이름을 얻게 되었을까? 일본에서는 참외 잎을 닮아서 참외나무(瓜の木, uri-no-ki)라고 부르며, 중국에서도 세 갈래의 참외나무(三裂瓜木, sān liè guā mù)라고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특이하게도 박쥐나무다. 박쥐를 닮았나? 라고…

Read More Read More

OpenAI Unveils Technology That Can ‘Reason’ With Images

OpenAI Unveils Technology That Can ‘Reason’ With Images

The company also introduced a new tool that helps computer programmers use chatbots when writing code. In September(2024), OpenAI introduced A.I. technology that could “reason” through tasks involving math, coding and science. Now, this technology can tackle similar tasks that involve images, including sketches, posters, diagrams and graphs. On Wednesday(2025.4.16), the company unveiled two new versions of its reasoning technology called OpenAI o3 and OpenAI o4-mini. Each can handle tasks that involve both images and text. These systems can “manipulate, crop and…

Read More Read More

로제트(Rosette) 식물의 눈치게임

로제트(Rosette) 식물의 눈치게임

로제트 식물은 짧은 줄기에 많은 잎이 밀집해 장미 모양으로 겹겹이 포개진 식물을 말하며 여러해살이도 있지만 두해 살이 식물이 많다. 이른 봄이되면 주위에 흔히 만날 수 있고 우리의 미각을 깨워주는 냉이가 바로 대표적인 로제트 식물이다. 냉이 이외에도 로제트 식물로는 민들레, 상추, 질경이와 같이 우리와 친분이 있는 식물들이 많다. 그 만큼 우리 주위에서 흔히 만날 수 있고 익숙하지만 이런 로제트 식물이 어떻게 해서 지금까지 살아 남았고 우리 곁에 머물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 당연히 궁금증을 자극하는 영역이고 숲해설가가 답을 줘야 하는…

Read More Read More

품격 높은 꽃 – 영산홍

품격 높은 꽃 – 영산홍

영산홍은 생물학적 분류상 진달래목 진달래과 철쭉류에 해당합니다. 일본이 원산지입니다. 예전에는 왜철쭉이라 부르기도 하였습니다. 같은 과에 속하면서도 진달래와 영산홍은 많이 다릅니다. 홍자색의 강렬한 꽃은 주변을 온통 화사하게 해 먼발치에서도 눈에 확실하게 들어오지만, 아쉽게도 향기가 없습니다. 영산홍뿐만 아니라 철쭉류 꽃의 특징이기도 합니다. 식물을 다스리는 조물주도 꽃의 아름다움에 어울리는 향까지 주기는 조금 과하다는 생각을 했던 모양입니다. 곤충을 유혹하는 것도 향 대신 꽃의 색깔입니다. 통꽃잎 안쪽의 수술 있는 부분이 좀 더 진한 붉은색을 띱니다. 이것은 곤충들에게 꿀샘이 있다는 곳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암시하는 것이랍니다. …

Read More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