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Tag:] 칠엽수

반짝이는 투명 갑옷을 입은 칠엽수

반짝이는 투명 갑옷을 입은 칠엽수

겨울이 돼 잎이 다 떨어지고 앙상한 가지만 남아있을 때 비로소 나무 살갗이 보인다. 그동안 싱그런 잎, 화려한 꽃, 앙증맞은 열매에 시선을 빼앗겨 보지 못했던 나무 껍질과 줄기와 수형을 보게 된다. 나무의 맨살 보기 중 주목해야 할 포인트가 또 하나 있다. 가을에 잎을 떨구는 나무들이 다음 해 봄을 준비하며 미리 만들어놓는 겨울눈, 작은 잎과 꽃을 꼬깃꼬깃 접어 압축 팩에 넣듯이 꼭 싸매고는 좋은 날 보자기 풀어내며 잔치를 벌이려 준비해 놓는 겨울눈이 그것이다. 겨울눈 또한 크기도 색깔도 생긴 모양도 제각각이지만, 겨울눈으로서 임무를…

Read More Read More

마로니에 공원에는 마로니에가 없다…

마로니에 공원에는 마로니에가 없다…

따뜻한 햇볕 아래 재미있는 연주와 공연을 보며 낭만을 느낄 수 있는 곳. 바로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 있는 ‘마로니에공원’입니다. 이 공원은 1975년 서울대학교가 관악구로 캠퍼스를 옮기면서 그 자리에 들어섰어요. 서울대 본관 앞에 있던 아름드리 나무는 그 자리에 그대로 남았는데, 이 나무가 ‘마로니에’라고 생각한 사람들이 공원 이름도 그렇게 붙였다고 합니다. 마로니에(marronnier)는 프랑스어 ‘밤(marron)’에서 나왔어요. 밤과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닮은 종자를 맺는 나무라서 붙은 이름입니다. 프랑스에서 마로니에는 파리 샹젤리제 거리를 장식하는 가로수로 유명합니다. 키가 높게는 40m까지 자라고 5~6월 봄이 오면 화려한 꽃을 피우죠….

Read More Read More

마로니에로 더 알려진 나무, 칠엽수

마로니에로 더 알려진 나무, 칠엽수

칠엽수[학명: Aesculus turbinata Blume]는 칠엽수과의 겨울철에 잎이 떨어지는 넓은 잎 큰키나무이다. 긴 잎자루 끝에는 손바닥을 펼쳐 놓은 것처럼 일곱 개의 잎이 달리므로 ‘칠엽수(七葉樹)’란 이름이 생겼다. 열매의 영어 이름은 ‘horse chestnut’, 곧 ‘말밤’이란 뜻이다. 원산지인 페르시아에서 말이 숨이 차서 헐떡일 때 치료약으로 쓰였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라는 이야기와 가지에 잎이 붙었던 자리[葉痕]가 말발굽 모양이라서 붙인 이름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컨커 트리(Conker Tree)라고도 부른다. 칠엽수의 또 다른 이름인 ‘마로니에(marronnier)’는 프랑스가 연상된다. 파리 북부의 몽마르트르 언덕과 센 강의 북쪽 강가를 따라 북서쪽으로 뻗어 있는, ‘낙원의…

Read More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