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Author:] skanto

How to change

How to change

얼마 전 뇌를 주제로 한 장동선의 토크쇼를 다녀온 다음 이 책을 버킷 리스트에 올려 놓았다. 토크쇼 진행 중에 장동선이 소개해 준 책이다. 요즘 내가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가 막히는 바람에 이 책을 구하기 힘들었는데 혹시 싶어 인터넷을 검색하니 운 좋게 구할 수가 있었다. 매우 가볍게 보이는 습관 하나라도 바꾸기가 어렵고 힘든데 어떻게 하면 생각을 행동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옮길 수 있는지에 관한 내용이다. 읽으면서 이 글을 통해 조금씩 메모해 보도록 한다. When it comes to changing your behavior, your opponent isn’t facing…

Read More Read More

물리학적 사고가 어떻게 AI를 가능하게 했나: 2024 노벨상

물리학적 사고가 어떻게 AI를 가능하게 했나: 2024 노벨상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은 이미지 생성이나, 그럴싸해 보이는 챗봇 그 이상이다. 또한 이는 물리학에 기반하며 노벨에 버금가는 노력의 산실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AI라고 하면 ChatGPT와 같은 챗봇이나 DALL-E 같이 이미지 생성, 또는 단백질의 중첩구조를 예측하는 AlphaFold와 같은 과학용 어플리케이션을 떠올린다. 이런 사람들 중 인공지능 시스템(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의 핵심에 물리학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극소수일 것이다. 하지만 사실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이란 개념은 물리학의 세 분야 즉, Biophysics, Statistical physics, Computational physics이 융합된 연구의 결과로 처음 결실을 맺게 되었다. 대략 1980년대 이루어진 이러한 주요…

Read More Read More

Vector Embeddings Explained

Vector Embeddings Explained

What are vector embeddings? Vector embeddings are dense representations of objects (including words, images or user profiles) in a continuous vector space. Each object is represented by a point (or vector) in this space, where the distance and direction between points capture semantic or contextual relationships between the objects. For example in NLP, similar words are mapped close together in the embedding space. Types of vector embeddings Generative AI applications are built using vector embeddings and the data source can…

Read More Read More

Understanding Immutable State in Java: When Why & How to Use It

Understanding Immutable State in Java: When Why & How to Use It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시간이 흐르더라도 변하지 않는 개념 즉, 신뢰성(Reliability)과 효율성(Efficiency)을 들 수 있다. 이는 Immutability과 관련된 개념이다. Immutability 상태라 함은 Object에 속해있는 속성들이 Object 생성 이후부터는 변경되지 않는 상황(불변)을 말한다. 이와 반대로 Mutable 상태는 Object가 생성된 이후 속성들이 변경되는 상황을 말한다. 이 두 상태는 개발하다 보면 그에 상응하는 목적과 역할이 존재함을 알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Immutable 상태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얘기해 보고자 한다. Java에서 immutable상태가 왜 중요한가? Immutability 상태는 Java 개발 관점에서 보면 매우…

Read More Read More

Java Stream API: Mastering Collectors

Java Stream API: Mastering Collectors

Java에서 Stream을 이용할 때 그 값이 하나의 값이든, Collection이든 또는 배열이든간에 최종 결과값을 산출하게 된다. Java에서 Stream은 Collector들을 통과하면서 어떤 형태의 Container로 변환된다. Java Stream API는 다양 형태의 Collector들을 제공하며 이 글에서 이런 Collector들을 하나씩 살펴보고자 한다. Stream을 Collection으로 변형시키는 것은 광범위한 토픽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툴들이 존재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거나 무수한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언제,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모두 이해하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진다. 활용방법에 대해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어떻게 소개할 지 시나리오를 제시하고자…

Read More Read More

Java Stream API: Mastering Reduction Operations

Java Stream API: Mastering Reduction Operations

Java에서 Stream을 다루다 보면 stream에 있는 값들을 하나의 결과 값으로 변환하는 작업들이 흔히 발생한다. stream을 하나의 값으로 reducing하거나 모든 값을 더해 하나의 값으로 취합하는 작업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Java Stream API는 이런 일련의 작업들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직관적이면서 강력한 툴을 제공한다. 이 글에서는 코드를 깔끔하게 하고 원하는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이런 operation들의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앞으로 다루게 될 모든 Operation들은 Terminal Operation이라고 하며 Stream을 가공해서 반환될 값으로 변형한 다음 Stream을 Close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count method Stream에서 처리하는…

Read More Read More

Forest Walking

Forest Walking

The largest fungus The largest fungus found so far is a honey fungus in the Malheur National Forest in Oregon. Spread over three-and-a-half square miles (nearly one thousand hectares) and weighing somewhere between 7,500 and 35,000 tons, it is the largest known living organism on Earth estimated to be many thousands of years old. Hidden Connections Nature is complicated. To understand how populations of predators and prey affects each other, we can look to Isle Royale, an island in Lake…

Read More Read More

The C4 model for visualizing software architecture

The C4 model for visualizing software architecture

오랫만에 Software관련 책을 하나 읽었다. 분량이 그리 많지 않은 내용이라 쉽게 읽었다. Software 개발은 항상 문서작성을 포함하는 범주로 나는 정의하고 있다. 왜냐하면 Software는 혼자서 작성하는 일이 거의 없고 공동의 작업결과물이기 때문이다. 공동의 작업은 필수적으로 소통이 따르게 마련이며 이 때의 소통은 Software가 어떻게 만드러지며 어떤 과정을 거쳐 여기까지 왔는지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소통의 결과물 없이 Software만 얘기한다면 그냥 길가에 굴러 다니는 돌맹이에 불과할 것이다. 우리가 역사적 기념물이나 유적을 만날 때 아는 것 만큼 본다고들 많이 얘기한다. 즉, 내가 얼마만큼 알고…

Read More Read More

Collective Illusions

Collective Illusions

이 책을 잡은지는 한참 되었으나 이제서야 다 읽었다. 너무 띄엄띄엄 본 탓에 많은 내용이 머리에 남아있지 않지만 작가는 여러가지 사례를 들면서 관습 관행으로 여겨져 오던 불합리함을 어떻게 보면 쉬운 방법으로 해겷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그리고 이런 집단착게에 빠져들지 않도록 하는 방법도 제시한다. 읽는 내내 머리에 남아 있는 단어는 “Congruence”이다. 사안을 볼 때 내면에 있는 나의 자아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맞다고 생각이 되는 일에는 침묵하지 말고 목소리를 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내용만이라도 머리에 남아 있다면 이 책을 읽은 보람이 있는…

Read More Read More

가을은 붉은 열매의 계절, 10가지만 알아볼까요?

가을은 붉은 열매의 계절, 10가지만 알아볼까요?

가을은 뭐니뭐니 해도 붉은 열매의 계절이다. 단풍이 들기 시작하면 산과 공원, 화단 등에서 붉은 열매를 달고 있는 나무도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중에서 공원이나 주변 산에 비교적 흔한 남천, 산수유, 낙상홍, 팥배나무, 찔레꽃, 청미래덩굴, 덜꿩나무, 가막살나무, 산사나무, 마가목 등 열 가지를 골랐다. 가을에도 빨간 열매가 주렁주렁 먼저 남천, 산수유, 낙상홍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나무가 아니라 열매를 쓰거나 정원수로 보기 위해 외국에서 들여온 재배식물이다. 그만큼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무다. 남천은 생울타리 등으로 많이 심어놓았다. 가을에 도심에서 탐스러운 빨간 열매를…

Read More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