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Category:] 숲해설

숲 속 대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통역합니다

Replacement of our cells

Replacement of our cells

Regular replacement also happens inside us. We constantly replace many of our cells: once every few days for the cells lining our intestines, for example, and once every four months for our red blood cells. To keep damaged molecules from building up in our bodies, our protein molecules are replaced, too. You may look the same in the mirror today as you did in a photo taken a month ago, but many of the individual molecules forming your body are…

Read More Read More

흰구름처럼 피어나는 조팝꽃

흰구름처럼 피어나는 조팝꽃

조팝나무는 우리나라 전역의 산과 들에서 흔히 자라는 나무다. 흰색의 작은 꽃이 다닥다닥 피어 있는 가지들이 모여 봄바람에 살랑거리기 때문에 멀리서 보면 흰 구름이나 솜덩이처럼 생겼다. 봄에 시골길을 가다 보면 산기슭은 물론 밭둑에도 무더기로 피어 있고, 낮은 담장이나 울타리를 따라 심어놓기도 했다. 풍성한 꽃이 보기 좋아 공원에 조경용으로 심어 놓은 것도 흔히 볼 수 있다. 특히 바람이 불 때 함께 오는 조팝나무 꽃향기는 참 좋다. 조팝은 키 1~2m 정도로 자라는 떨기나무(관목)인데 꽃을 자세히 보면 튀긴 좁쌀을 다닥다닥 붙여 놓은 모양이다. 그래서…

Read More Read More

연애 한 번 못해 보는 꽃, 水菊과 佛頭花

연애 한 번 못해 보는 꽃, 水菊과 佛頭花

꽃은 원래 사람들이 감상하라고 피는 것이 아니다. 식물의 생식기관으로 수정을 거쳐 자손을 퍼트리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수정을 하지 못하는 꽃들이 있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수국(水菊)과 불두화(佛頭花)가 대표적이다. 이 꽃들은 암술·수술이 없거나 퇴화해 수정을 하지 못한다. 벌이나 나비가 관심을 갖지도 않는다. 연애 한 번 못해 보는 꽃인 셈이다. 수국은 전 세계 화단을 장식하는 대표적인 꽃 중 하나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물을 좋아하고 피는 시기도 6~7월 장마철이다. 요즘 꽃집 앞엔 빨리 개화시킨 수국을 전시해 놓은 것을 볼 수…

Read More Read More

수국

수국

둥글둥글한 수국 꽃이 여름을 부른다. 보라색, 하늘색 또는 분홍색이 어우러진 수국의 꽃송이가 마치 둥근 공 같다. 햇볕 잘 드는 따뜻한 곳의 집 대문 앞이나 작은 마당, 혹은 담장 옆에 풍성하고 아름다운 수국이 무리 지어 피어있다. 수국을 만나면 꼭 손으로 만져보고 싶은 충동이 생기는 이유는 뭘까? 요즘에는 공원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다.  수국은 범의귀과에 속하는 낙엽지는 나무이다. 꽃을 즐기기 위해 주로 심고 있지만 잎이 너무 무성한 탓에 초본으로 생각하는 이들도 많다. 수국의 고향은 중국이다. 중국에서는 뭉게뭉게 피어나는 수국 꽃송이를 두고 ‘수구화(繡毬花)’라고…

Read More Read More

녹색의 어원

녹색의 어원

In language across the globe, the adjective “green” is etymologically rooted in the verb “to grow”. In free-association studies, participants linked the word “green” to concepts of nature, restfulness, peace, and positivity. Research has shown a brief glimpse of green significantly improved the creativity that people brought to bear on simple tasks. Every year since 1990s we have created more than eight billion new stumps. If we continue to fell healthy trees at this rate, less than six hundred years…

Read More Read More

척보면 딱 아는 벚꽃, 매화, 살구꽃 구별법

척보면 딱 아는 벚꽃, 매화, 살구꽃 구별법

만약 서울에 살고 있는데 동네에서 이미 피어있는 벚꽃을 보았다면? 이는 ‘매화’일 가능성이 크다. 매화는 매실나무의 꽃으로 벚꽃보다 조금 앞선 초봄에 피기 시작한다. 매화는 꽃잎이 붉은색, 흰색 등 다양하다. 이중 흰 꽃잎의 매화는 벚꽃과 비슷하게 생겨 헷갈리기 쉽다. 살구나무 꽃 역시 벚나무와 매실나무 꽃과 비슷하게 생겼다. 세 나무 모두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에 속한다. 시기적으로 아주 약간 차이가 있을 뿐, 모두 초봄에 잎보다 꽃이 먼저 핀다. 따라서 먼발치에서 보면 세 꽃을 구분하기 어렵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쉽게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세…

Read More Read More

초봄 꽃은 왜 노란색이 많을까

초봄 꽃은 왜 노란색이 많을까

유채 꽃, 영춘화, 산수유, 생강나무, 히어리, 복수초, 개나리, 꽃다지, 민들레, 애기똥풀… 초봄에 피는 이 꽃들의 공통점은 노란색이라는 것이다. 초봄 노란꽃 물결을 보면 겨울이 다 가고 봄이 온 것을 실감할 수 있다. 초봄 꽃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프리지아도 노란색이다. 물론 자주색인 광대나물, 연한 파란색인 큰개불알풀, 흰색인 냉이와 목련 등도 있고 진달래는 연한 붉은색이다. 그렇더라도 체감적으로 초봄에 피는 꽃들은 노란색이 압도적으로 많은 건 사실이다. 왜 초봄 피는 꽃은 노랑색이 많을까. 꽃색이 계절에 따라 일정한 패턴이 있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초봄에…

Read More Read More

5월에 흰색 꽃이 많이 피는 까닭은

5월에 흰색 꽃이 많이 피는 까닭은

봄은 노란색으로 찾아와 하얀색으로 마무리된다. 특히 5월은 하얀색의 계절이다.  거리의 가로수로 많이 식재돼 한창 꽃무리를 보여주고 있는 이팝나무와 근처 야산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아카시나무가 당장 가장 많이 보이는 흰색 봄꽃들이다. 그런데 산으로 눈길을 주면 더 많은 흰 꽃을 만날 수 있다.  산딸기와 산딸나무, 산사나무, 쥐똥나무, 백당나무, 불두화, 층층나무, 때죽나무, 찔레꽃 등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만큼 5월엔 흰색의 꽃들이 많이 핀다. 이렇게 흰색의 꽃이 많은 이유에 대해서 산림청에서 연전에 그 까닭을 밝힌 바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렇다. 이 계절에 피는 꽃들이 압도적으로…

Read More Read More

세 번 놀라게 하는 모과

세 번 놀라게 하는 모과

모과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성 활엽 교목이다. 모과는 한자 이름 목과(木瓜)에서 나온 이름이다. 잘 익은 노란 열매는 참외와 같이 나무 참외라는 뜻이다. 누구나 모과나무의 열매만을 생각하기 쉽지만 꽃을 보고 배꽃처럼 아름답게 여겨 화리목이라고 하고 화초목·화류목·명려·명사란 이름도 있다. 우리나라 일부 지방에서는 모과를 모개라고 한다. 모과나무는 선입견과는 어울리지 않는 곱디고운 다섯 장의 꽃잎은 수줍은 새색시의 두 볼처럼 붉다. 꽃의 지름이 2.5∼4cm 정도이고 꽃잎은 5개, 수술은 20여 개, 암술머리는 5개로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거나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잎 표면은 광택이 있고 털이…

Read More Read More

낭창낭창한 말 채찍, 말채나무

낭창낭창한 말 채찍, 말채나무

말채나무[학명: Cornus walteri F.T.Wangerin]는 층층나무과의 ‘낙엽이지는 넓은 잎 키큰나무’다. 말채나무 가지가 봄에 한창 물이 오를 때 가느다랗고 낭창낭창한 가지는 말채찍을 만드는 데 아주 적합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말채찍으로 사용할 정도면 탄력도 있어야 하겠지만 아주 단단해야 한다. 거양목(車梁木)으로도 부르는데, 이 나무를 수레의 대들보로 사용했다는 뜻이다. 말채나무의 옛 이름은 송양(松楊)이다. 다른 이름으로 조선송양(朝鮮松楊), 조선산수유(朝鮮山茱萸), 모동(毛棟)이라고도 부른다. 유희가 쓴 《물명고(物名攷)》에는 “나무껍질은 소나무와 같고 목재는 버들과 같다. 잎은 배나무와 비슷하고 열매는 갈매나무 열매를 닮았다. 쪄서 즙을 내면 붉은색을 얻을 수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Walter-dogwood라고도…

Read More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