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Month:] 2023년 03월

잎보다 꽃을 먼저 피우는 이유

잎보다 꽃을 먼저 피우는 이유

식물이 꽃을 피우는 이유는 번식을 하기 위해서다. 그렇다면 잎을 내기도 전에 꽃을 피우는 이유는 무엇일까. 식물은 대부분 에너지를 잎의 광합성을 통해 얻기 때문에 잎이 없는 상태에서 적은 에너지를 갖고 꽃을 피운다는 것은 상당히 많은 에너지를 축적해 뒀어야 하고 또 소비하는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잎보다 꽃을 먼저 피우는 것은 수많은 꽃이 피어 향과 화려한 색, 모양으로 수분 매개자를 유혹해야 하는 경쟁을 피하기 위해서다. 5월 더 많은 꽃이 함께 개화하는 시기에 피는 꽃들은 진한 향과 꿀로 치열한 경쟁을 펼쳐야 한다. 아카시아, 장미…

Read More Read More

땅으로 떨어진 씨앗은 어떻게 발아하나

땅으로 떨어진 씨앗은 어떻게 발아하나

땅에 떨어진 씨앗은 어디에서든 싹을 틔울 수 있을까? 우리는 초등학교 시절 씨앗의 발아 조건으로 물, 온도, 빛을 배웠다. 그렇다면 씨앗은 그 조건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씨앗은 발아 단계 전 종자 휴면이라고 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는 씨앗이 발아하기 적합한 환경이 될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적당하지 않은 환경에서의 발아는 결국 번식 실패를 의미한다. 벼가 이삭에 매달린 상태에서 일찍 발아하면(수발아 현상) 벼의 전략도 실패이며 곡물 생산에도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이런 불리한 환경에서의 발아를 조절하는 단백질이 식물 호르몬…

Read More Read More

씨앗이 살아남기 위한 방법은

씨앗이 살아남기 위한 방법은

또 다른 씨앗 생존 전략은 씨앗에 동물에게 좋지 않은 성분을 높이는 것이다. 렉틴, 피트산, 옥살산과 같은 항영양소 성분이 그것이다(사실 대부분의 과육(열매에서 동물에 의해 소화되는 부분)을 제외한 모든 식물 부위에 이런 성분들이 들어가 있다). 옥살산염은 미네랄 흡수를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과다하게 섭취하면 세포와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키기도 한다. 피트산은 미네랄 흡수를 방해해 미네랄 결핍을 일으키며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소화 효소 작용을 억제하는 소화 저해 기능을 한다. 까마득한 시간 동안 자기 나름대로 방어기제를 갖춰온 것이다. 말 그대로 화학전을 이용한 번식체계다. 물론 동물은 특수한 소화기관(긴 소화기관과…

Read More Read More

식물이 열매를 맺는 이유는

식물이 열매를 맺는 이유는

동물을 이용해 번식하기 위한 전략이다. 땅에 뿌리를 고정하고 살아야 하는 식물들은 적합한 계절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어 씨앗을 물리적으로 ‘멀리’ 퍼트려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한정된 땅에서 영양분과 빛을 두고 후손과 경쟁해야 할 수도 있는 상황이 생기기 때문이다. 식물들은 새나 동물에게 눈에 띄는 아름다운 색과 향을 열매를 위해 준비한다. 열매의 달고 맛있는 과육을 동물에게 제공해 그 과일을 먹은 값으로 동물이 씨앗을 퍼트리게 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열매는 씨앗이 준비된 정도에 따라 다른 색, 향, 맛을 준비한다. 아직 준비가 되지 않은 시기에는 동물을…

Read More Read More

열매와 씨앗은 어떻게 다른가

열매와 씨앗은 어떻게 다른가

새로운 식물로 자라는 것은 씨앗이고, 열매는 씨앗을 포함해 과육과 껍질을 가지고 있는 기관이다. 열매는 피자식물(꽃이 피는 종자식물 중 속씨식물을 의미)이 수정한 후 씨방이 자라서 되는 것으로 열매 껍질은 씨방이 발달한 것이다. 대개는 열매 속에 종자가 들어 있는데 그것을 우리는 씨앗이라고 한다. 씨앗의 배는 잎, 줄기, 뿌리가 될 부분으로 싹이 터서 자라면 새로운 식물이 되고 그 주변을 싸고 있는 배젖은 배가 싹터서 자랄 때까지 사용할 수 있는 영양분이 저장돼 있다. 밤은 열매이면서 씨앗이다. 자체가 나무를 키울 수 있다는 것이다. 밤은 땅속에서…

Read More Read More

박태기나무 해설

박태기나무 해설

박태기나무 이름이 생소하게 느끼는 사람들이 많이 있을 것이다. 박씨 성을 가진 사람이름 같기도 하고 이름에서 부터 궁금증이 커진다. 박태기 나무는 그 모양이 마치 밥알, ‘밥풀떼기’, ‘밥티기’가 덕지덕지 붙어 있는 것과 같다고 해서 ‘밥풀대기나무’, ‘밥티나무’ 등으로 불리다가 ‘박태기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좀 생뚱맞긴 해도 한번 들으면 쉽게 잊혀 지지 않는 나무 이름이 정겹다. 양반들이 먹던 하얀 쌀밥이면 더 좋겠으나 꽃이 진분홍색이니 조나 수수의 밥알을 생각하면 이해가 될 것이다. 이와 비슷하게 우리가 먹는 음식을 빗대어 지어진 이름으로 이팝나무, 조팝나무, 며느리밥풀꽃, 박태기나무까지 유독 이름에…

Read More Read More

Supiami – 앱 도움말

Supiami – 앱 도움말

그간 5개월(‘22.10 ~ ‘12.2) 정도 개발을 했던 Supiami가 완성됐다. 기존 버전(v1.0)에서 직관적이고 사용이 편하도록 개선했다. 또 댓글과 좋아요 기능을 넣어 완벽하지는 않지만 사용하는 사람들과의 Social기능도 추가했다. 이번 버전에서 새로워진 기능 위주로 사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기능 슬림화 기존 버전에서 많이 사용하지 않는 기능들은 제거했다. QR코드 인식, 검색 기능을 제거했다. 이들 기능들은 향후에 필요할 경우 추가할 계획이며 우선 사용빈도가 극히 저조하고 오히려 활용에 혼란을 줄 수 있어 기능을 뺐다. 그리고 Swipe해서 이전화면으로 이동하던 것을 v2에서는 굳이 이 기능을 넣지 않아도 페이지를 자유롭게…

Read More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