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Category:] 숲해설

숲 속 대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통역합니다

씨앗이 살아남기 위한 방법은

씨앗이 살아남기 위한 방법은

또 다른 씨앗 생존 전략은 씨앗에 동물에게 좋지 않은 성분을 높이는 것이다. 렉틴, 피트산, 옥살산과 같은 항영양소 성분이 그것이다(사실 대부분의 과육(열매에서 동물에 의해 소화되는 부분)을 제외한 모든 식물 부위에 이런 성분들이 들어가 있다). 옥살산염은 미네랄 흡수를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과다하게 섭취하면 세포와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키기도 한다. 피트산은 미네랄 흡수를 방해해 미네랄 결핍을 일으키며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소화 효소 작용을 억제하는 소화 저해 기능을 한다. 까마득한 시간 동안 자기 나름대로 방어기제를 갖춰온 것이다. 말 그대로 화학전을 이용한 번식체계다. 물론 동물은 특수한 소화기관(긴 소화기관과…

Read More Read More

식물이 열매를 맺는 이유는

식물이 열매를 맺는 이유는

동물을 이용해 번식하기 위한 전략이다. 땅에 뿌리를 고정하고 살아야 하는 식물들은 적합한 계절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어 씨앗을 물리적으로 ‘멀리’ 퍼트려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한정된 땅에서 영양분과 빛을 두고 후손과 경쟁해야 할 수도 있는 상황이 생기기 때문이다. 식물들은 새나 동물에게 눈에 띄는 아름다운 색과 향을 열매를 위해 준비한다. 열매의 달고 맛있는 과육을 동물에게 제공해 그 과일을 먹은 값으로 동물이 씨앗을 퍼트리게 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열매는 씨앗이 준비된 정도에 따라 다른 색, 향, 맛을 준비한다. 아직 준비가 되지 않은 시기에는 동물을…

Read More Read More

열매와 씨앗은 어떻게 다른가

열매와 씨앗은 어떻게 다른가

새로운 식물로 자라는 것은 씨앗이고, 열매는 씨앗을 포함해 과육과 껍질을 가지고 있는 기관이다. 열매는 피자식물(꽃이 피는 종자식물 중 속씨식물을 의미)이 수정한 후 씨방이 자라서 되는 것으로 열매 껍질은 씨방이 발달한 것이다. 대개는 열매 속에 종자가 들어 있는데 그것을 우리는 씨앗이라고 한다. 씨앗의 배는 잎, 줄기, 뿌리가 될 부분으로 싹이 터서 자라면 새로운 식물이 되고 그 주변을 싸고 있는 배젖은 배가 싹터서 자랄 때까지 사용할 수 있는 영양분이 저장돼 있다. 밤은 열매이면서 씨앗이다. 자체가 나무를 키울 수 있다는 것이다. 밤은 땅속에서…

Read More Read More

박태기나무 해설

박태기나무 해설

박태기나무 이름이 생소하게 느끼는 사람들이 많이 있을 것이다. 박씨 성을 가진 사람이름 같기도 하고 이름에서 부터 궁금증이 커진다. 박태기 나무는 그 모양이 마치 밥알, ‘밥풀떼기’, ‘밥티기’가 덕지덕지 붙어 있는 것과 같다고 해서 ‘밥풀대기나무’, ‘밥티나무’ 등으로 불리다가 ‘박태기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좀 생뚱맞긴 해도 한번 들으면 쉽게 잊혀 지지 않는 나무 이름이 정겹다. 양반들이 먹던 하얀 쌀밥이면 더 좋겠으나 꽃이 진분홍색이니 조나 수수의 밥알을 생각하면 이해가 될 것이다. 이와 비슷하게 우리가 먹는 음식을 빗대어 지어진 이름으로 이팝나무, 조팝나무, 며느리밥풀꽃, 박태기나무까지 유독 이름에…

Read More Read More

Supiami – 앱 도움말

Supiami – 앱 도움말

그간 5개월(‘22.10 ~ ‘12.2) 정도 개발을 했던 Supiami가 완성됐다. 기존 버전(v1.0)에서 직관적이고 사용이 편하도록 개선했다. 또 댓글과 좋아요 기능을 넣어 완벽하지는 않지만 사용하는 사람들과의 Social기능도 추가했다. 이번 버전에서 새로워진 기능 위주로 사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기능 슬림화 기존 버전에서 많이 사용하지 않는 기능들은 제거했다. QR코드 인식, 검색 기능을 제거했다. 이들 기능들은 향후에 필요할 경우 추가할 계획이며 우선 사용빈도가 극히 저조하고 오히려 활용에 혼란을 줄 수 있어 기능을 뺐다. 그리고 Swipe해서 이전화면으로 이동하던 것을 v2에서는 굳이 이 기능을 넣지 않아도 페이지를 자유롭게…

Read More Read More

Moth, Butterfly, and Pigeon

Moth, Butterfly, and Pigeon

자세히 보면, 나방과 나비의 뚜렷한 차이점 2개를 발견할 수 있다. 나비는 예쁜 색을 띈다(컬러TV). 예를 들어, 공작나비(peacock butterfly)는 새 또는 다른 적들로부터 자신을 보하하기 위해 양쪽 날개에 커다른 눈을 과시한다. 나비의 몸과 날개에는 비교적 털이 적다. 따라서 적들이 보게되는 시각적 이미지는 반짝이고 명료하다. 이와 반대로 나방은 주로 단색을 띄며(흑백TV) 회색과 갈색이 주된 색이다. 왜내하면 이들 나방은 낮에는 주로 나무 껍질이나 가지에 앉아 잠을 자고 밤이 되기를 기다리기 때문이다. 낮 동안에는 활동이 둔하고 쉽게 새들의 먹이가 된다. 새들은 예리한 눈을 통해…

Read More Read More

날수 있는 작은 씨앗을 가진 나무가 유리할까?

날수 있는 작은 씨앗을 가진 나무가 유리할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왜냐하면 나무는 다음 세대를 시작할 때 커다란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전분, 오일, 또는 단백질 형태로 저장된 에너지를 쌔앗인 배아에 제공해야 한다. 씨앗은 생명이 시작될 때 새싹이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지 못한 상태에서 성장을 시작해야 한다. 뿌리는 땅을 뚫고 들어가 물과 미네랄을 흡수하고 땅 위에서는 떡잎이 자라지만 이들은 종마다 특유의 모습을 가지며 성장 이후의 햇빛을 받아 들이는 잎모양과 매우 다르다. 잎들은 성장한 후에 햇빛을 이용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를 설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이후부터 작은 떡잎은 조상으로부터…

Read More Read More

나방(moth)이 박쥐를 피하기 위한 전략

나방(moth)이 박쥐를 피하기 위한 전략

다양한 색의 빛으로 부터 자신을 위장하거나 속이려면 주위의 배경과 구분이 되지 않도록 비슷한 색과 패턴을 이용하면 된다. 소리로부터 위장하려고 할 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 경우 주위를 이용해서 구분이 어렵도록 만든다는 것은 나방에게는 최대한 적은 양이 소리가 반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추후에 산속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이것이 어떻게 그렇게 되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산비탈이 나무가 없을 경우 메아리를 외쳐보면 아주 명료하게 반사될 것이다. 만약 산비탈이 나무로 빼곡하다면 메이리를 듣지 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나무의 줄기나 수관이 소리를 흡수해버리기 때문이다. 이런…

Read More Read More

질소(Nitrogen)에 대해

질소(Nitrogen)에 대해

우리가 숨쉬는 대기 중에는 질소가 풍부하다. 질소가 차지하는 비율이 78%인 것과 비교했을 때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산소는 대기 중에는 21%정도밖에 차지하지 않는다. 엄격하게 말해 숨을 쉴 때 우리에게 불필요한 가스를 발라내자면 공기의 3/4는 사용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질소가 필요없다는 것은 아니다. 이와 반대로 우리 몸은 대략 2kg정도의 질소를 단백질, 아미노산, 그외 처리된 물질 형태로 지니고 있다. 나무도 인간과 다르지 않다. 나무도 숨을 쉴 때 질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들이 관심을 갖는 것은 질소를 포함하고 있는 특별 형태의 화합물이다. 이 화합물은 반응성이며…

Read More Read More

개척나무(Pioneer Trees)

개척나무(Pioneer Trees)

사람들 세계에서도 새로운 곳을 탐험하고 개척하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처럼 나무들 세계에서도 다른 나무들과 어울리며 살아가기 보다 항상 새로 찾아 떠나는 것을 좋아하는 나무들이 있다. 이들 나무들은 부모 나무들로 부터 최대한 떨어져서 살아가는 것을 좋아한다. 씨앗를 보면 매우 작고 도톰하거나 작은 날개를 가지고 있어서 바람의 도움을 받으면 수 킬로미터까지 먼 거리를 날아갈 수 있다. 이들 나무들의 목표는 숲 밖으로 날아가 거기서 다시 새로운 개척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산사태가 나거나 화산이 폭발하고 나서 만들어지는 이런 황무지 같은 곳이 있다면 이들 나무들의…

Read More Read More